본문 바로가기

복지

[일의 결정권]복지국가과 행복지수와의 관계

우리나라는 항상 복지국가를 꿈꾸고 있습니다.

'분배와 평등, 사회보장이 잘 되어있는 곳' 이것이 복지국가의 개념일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복지예산이 많은 곳은 국민들의 행복지수와 정비례하는 관계일까요?

행복지수를 이야기하기 전에 자신의 일과 행복의 원천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복지국가하면 유럽이다

복지국가가 아니면서 GNP가 낮은 국가일수록 자신의 일을 생업의 수단 또는 소득이 목적이 되는 경향이 많습니다.

따라서 일을 선택함에 있어서 자신의 적성과 상관없이 월급이 얼마나 많은지가 직업선택의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이것은 일로써 얻게되는 행복을 포기한다는 결론을 얻게됩니다.

2019년 행복지수 순위

북유럽의 복지국가 중 하나, 노르웨이에서는 직업을 선택할 때 자신의 적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나라입니다.

동시에 노르웨이는 작년 세계행복지수에서 5위를 차지한 나라입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고 그 일을 할때 책임감을 많이 느끼며 상명하복이 아닌, 스스로 일에 대한 결정권을 갖게되는 구조 입니다.

일에 대한 결정권은 일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행복입니다. 이에 따른 책임감은 노동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내용입니다.

일에 대한 자율성과 결정권을 가질 수 있는 전제는 세금이 크다는 것에 있습니다.

자율성은 일에서 얻게되는 행복의 가장 큰 요인

하기 싫은 일을 하면서 많은 세금을 내는 것 보다,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일로써 행복을 찾게되는 국민성이 만들어졌습니다.

복지국가의 사람들은 좋은 집, 좋은 차를 바라보는 시선은 우리와는 조금 다르다 할 수 있습니다.

재산을 과시하는 것을 보면 누구나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됩니다. 복지국가에서는 이것을 남에게 피해를 주는 간접적행위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평등적 개념이 국민성으로 잘 자리잡았는지 모르겠습니다.